본문 바로가기
교육정보

통합학급 수업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

by 모든 정보 제공 2022. 9. 25.

통합학급 수업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

첫째, 국어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이다. 책을 읽을 때는 친구와 함께 손가락을 대어 가며 읽을 수 있도록 한다. 글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학생은 학습 목표를 읽도록 한다. 받아쓰기를 할 때 친구의 것을 보고 쓰게 하거나 아는 글자만 쓰도록 한다.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정보를 묶어서 짧게 제공한다.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동영상이나 그림 등 시각적 자료를 사용한다. 들은 내용을 잘 기억하기 위해 친구와 말 모방 훈련을 한다. 일기 쓰기, 메모하기, 알림장 쓰기를 통해 글을 쓰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신문광고 읽기, 표지판 읽기, 버스 노선 읽기 등 생활에서 활용하도록 지도한다. 둘째, 수학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이다. 짝꿍이 빨리 푼 문제의 답을 베껴 쓸 수 있도록 한다. 초보적인 개념을 경험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길이 재기는 자 대고 줄 긋는 활동, 점 잇기 활동 등으로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게 한다. 계산기를 이용해서 형식 계산을 경험하게 한다. 수 개념과 기초 연산 개념을 이해하도록 구체적인 조작 경험을 많이 제공한다. 과제 분석을 하여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한꺼번에 너무 많은 문제를 주지 않는다. 수학적 개념이나 공식은 노래와 율동을 통해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다. 수학적 연산도 중요하지만, 가게에서 물건 사기처럼 실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지도한다. 셋째, 사회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이다. 사회와 관련된 개념을 설명할 때는 시각적 자료를 활용한다. 예를 들면, 우체국에서 편지나 소포를 배달하는 장면은 잡지 또는 신문에서 관련된 내용과 그림을 찾아 오려 붙이는 활동을 대신한다. 수업 목표와 관련된 중요 개념이나 핵심 단어는 써 보도록 한다. 컴퓨터를 통한 동영상이나 시뮬레이션을 제시할 때 교사의 컴퓨터를 조작하거나 텔레비전의 전원을 조작하는 역할을 준다. 사회과는 한 장면에 여러 개념을 담고 있다. 이런 경우 가능하면 한 문장으로 요약해서 말해 준다. 예를 들면, 교통과 관련해서 안전한 생활은 신호등이 파란불일 때 길을 건넌다고 알려 준다.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체험학습을 한다. 예를 들면, 학교 주변의 동사무소나 소방서 등을 견학한다. 넷째, 과학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이다. 체험활동에 중심을 두어 지도한다. 예를 들면, 공기와 풍향을 학습할 때 장애학생은 부채질하기와 풍선 날리기로 대신하며 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 실험을 준비할 때 할 수 있는 일을 찾아서 역할을 정해 준다. 예를 들면, 수조에 물 떠 오기나 실험 도구 정리는 충분히 할 수 있다. 또 식물의 자람 단원에서는 1인 1 역할과 연계하여 화분에 물 주기를 할 수 있다. 태양과 우주와 같이 추상적인 개념은 모형이나 구체적인 조작 자료를 통해 개념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힘과 운동, 전기, 파동의 단원에서 실험을 할 때 안전사고에 유의하며 장애학생이 알코올램프나 위험한 용액과 되도록 멀리 있도록 자리를 배정할 수 있다. 인터넷을 자유롭게 쓰거나 컴퓨터로 문서 작성을 할 수 있는 학생이라면 최신 과학이나 과학자 이야기, 시사성 있는 과학 내용을 찾아서 수업 시간에 친구들에게 보여 주도록 하는 방법도 좋을 것이다. 실험 기구는 장애학생에게 친숙한 음료수 통이나 아이스크림 통, 우유 상자와 같은 폐품을 활용하면 수업의 흥미를 높일 수 있으며 깨지지 않고 편리하다. 다섯째, 체육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이다. 집단에 함께 참여하는 놀이 활동으로 학습 내용을 구조화하여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며 기초 체력을 향상하고 집단 내에서 어울리는 방법을 알게 한다. 체육 교과는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 구성 및 경기 규칙 등을 정해 준다. 달리기를 잘하지 못하는 장애학생은 친구와 손을 잡고 뛰게 한다. 전체 달리기를 할 때 지체장애 학생은 달리는 거리를 줄여 준다. 지체장애 학생은 이동이 적은 활동에서 성취감을 맛보도록 한다. 집단 활동에서 이탈이 많은 장애학생은 친구들이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시각장애 학생은 이동하는 데 단서가 될 수 있도록 소리 나는 도구를 이용한다. 집단 활동 시 장애학생이 속한 조에도 경기 규칙을 수정해 준다. 여섯째, 음악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이다. 음악적 개념은 의미 있는 신체적 활동과 함께 연관 지어 지도한다. 예를 들면, 올라가는 멜로디의 경우 손을 같이 위로 올리며 노래한다. 음정, 리듬, 소리의 세기, 소리의 색깔을 느낄 수 있도록 아침 자습 시간이 나 쉬는 시간, 자투리 시간에 전래동요나 피아노, 플루트, 바이올린 등의 연주곡을 들려준다. 앞 소절을 부르면 친구들이 뒤 소절을 따라 부르는 경험을 하게 한다. 소리의 세기나 특정 음에 부적응을 보이는 자폐학생은 점차적으로 소리를 들려주어 적응하게 한다. 장애학생이 리듬악기를 쳐야 할 순서가 왔을 때는 단서를 제공한다. 청각장애 학생은 잔존 청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메트로놈 등의 시각적 정보를 활용한다. 시각장애 학생은 악보 작성에 필요한 음표를 표기할 때 손상된 시각 대신 촉각을 사용하도록 한다. 일곱째, 미술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이다. 기본적인 그리기 활동을 충분히 경험하도록 두꺼운 도화지, 색지, 스케치북, 달력 종이를 제공하여 학생이 마음대로 그리도록 한다. 형태 감각을 발달시키기 위해 밑그림을 그려 주워 대고 그리도록 여러 가지 모양 그림을 코팅해서 제공한다. 색칠하기는 색의 이름을 알려 주고 구분하여 색칠하도록 한다. 오리기 활동은 단계적으로 접근한다(예: 직선 오리기 - 직각 오리기 - 곡선 오리기). 조각칼이나 위험한 학습 자료를 다룰 때는 교사가 옆에서 도와주거나 안전한 도구로 바꾸어 준다.

댓글